음악에서 AI로, 그 시작
저는 학부에서 음악을 전공했습니다. 음의 세계에 푹 빠져 지내던 시간들이었죠. 대학원에 진학했을 때는 음악과 기술의 접점인 컴퓨터음악을 선택했습니다. 디지털 기술이 음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떻게 음악적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시키는지 탐구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세계를 만났습니다. AI가 가진 무한한 가능성에 매료되어, 저는 하던 음악을 잠시 뒤로하고 AI 기술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기존의 음악적 배경과 컴퓨터음악에서 얻은 기술적 이해가 새로운 여정의 소중한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방향을 찾아가는 여정
AI 공부를 시작했을 때는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Computer Vision과 Audio Processing 사이에서 갈등했죠. 두 분야 모두 제 배경과 연결될 수 있었고, 흥미로운 연구 주제도 많았습니다.
이런 고민 속에서 대학원 논문 주제를 정하게 되었습니다. '컴퓨터비전을 활용한 시각장애인들의 악기 교육 접근성 향상'에 관한 연구였습니다. 카메라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자세와 손가락 위치를 인식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이었습니다.
목적을 발견하다: 접근성
논문 연구를 진행하면서 중요한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음악이든 AI든, 결국 제가 하고 싶은 일의 본질은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라는 점이었습니다. 음악을 통해 감동과 위로를 전하고 싶었던 마음이, AI를 통해서는 실질적인 문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특히 시각장애인 학생들이 제 시스템을 통해 악기를 배우는 모습을 지켜보며, 기술이 가진 진정한 가치는 접근성을 높이는 데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디지털 세계와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것이 제가 추구해야 할 방향이었습니다.
새로운 꿈: AI 접근성 전문가
이제 저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전이든 오디오든, 모든 디지털을 사용하는 계층을 위한 접근성 관련 AI 전문가가 되는 것입니다. 장애인뿐만 아니라 고령자, 디지털 소외계층, 언어적 장벽을 가진 이들까지 - 더 많은 사람들이 디지털 세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제 사명입니다.
음악을 통해 배운 창의성과 기술적 정확성, 컴퓨터음악에서 얻은 디지털 도구에 대한 이해, 그리고 AI 연구를 통해 개발한 문제 해결 능력은 이 여정에서 소중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나아갈 방향
앞으로 저는 컴퓨터 비전과 오디오 처리 기술을 더욱 깊이 연구하면서, 이를 접근성 향상에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할 것입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미지 인식 시스템, 청각장애인을 위한 소리-시각 변환 인터페이스, 인지적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를 위한 적응형 UI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모두가 디지털 세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장하고 싶습니다.
음악의 세계에서 시작된 저의 여정이 이제는 AI 접근성이라는 새로운 무대에서 계속됩니다. 다른 배경을 가진 분들도 각자의 경험과 전문성을 살려 AI와 접근성의 영역에서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 모두의 다양한 관점이 모여 더 포용적인 디지털 세계를 만들 수 있을 테니까요.
여러분의 여정은 어떤가요? 음악, AI, 그리고 접근성에 관심 있는 분들의 이야기를 댓글로 나눠주세요.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커뮤니티가 되었으면 합니다.
'AI와 접근성(accessib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 학생 AIDT 프로젝트에서 경험한 접근성의 한계와 극복 방안 (0) | 2025.03.10 |
---|---|
AI 시대에서 IT 접근성의 중요성 (0) | 2025.03.06 |